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시 자주 묻는 질문 TOP 7

by 지가행부 2025. 5. 14.
반응형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시 자주 묻는 질문 TOP 7

 

1. 소득이 적어도 신고해야 하나요?

네. 수입이 1원이라도 있었다면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국세청으로부터 신고 안내문을 받은 경우에는 반드시 신고해야 하며, 미신고 시 가산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입이 적더라도, 사업소득·기타소득이 있다면 성실하게 신고해야 합니다.

2. 3.3% 세금 떼고 받았는데 신고해야 하나요?

많은 프리랜서와 외주 근로자가 3.3%를 원천징수당하고 수익을 받습니다. 이 세금은 **잠정적인 선납 세금**일 뿐이고, 연 1회 종합소득세로 정산해야 합니다. 경비가 많았다면 환급 받을 수 있고, 소득이 더 많았다면 추가 납부해야 합니다.

3.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신고를 하지 않으면 무신고 가산세 최대 20%납부불성실 가산세(일할 계산)가 부과됩니다. 추후 국세청에서 소득 내역을 인지하면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신고는 최대한 기한 내에, 늦더라도 기한 후 신고로라도 꼭 마쳐야 합니다.

4. 어떤 경비가 인정되나요?

사업 또는 프리랜서 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출만 인정됩니다. 예를 들면 장비 구입비, 통신비, 교통비, 사무용품, 소프트웨어 구독료 등이 해당됩니다. 반면 개인 용도의 지출, 가족 외식비, 비즈니스와 무관한 소비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5. 매출을 일부 누락하면 어떻게 되나요?

소득을 누락한 경우 국세청이 통보하거나 매출자료를 인지할 경우 과소신고 가산세(10~20%)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또한 누락된 금액이 클 경우 세무조사 대상</strong이 될 수 있습니다. 홈택스에서 불러온 자료 외에도 직접 수입한 내역은 반드시 추가로 입력해야 합니다.

6. 신고 후 환급은 언제 되나요?

종합소득세 신고 후 환급을 받을 경우, 통상적으로 신고일로부터 1~2개월 이내에 국세청에서 입금됩니다. 다만, 환급액이 크거나 서류 보완이 필요한 경우 지연될 수 있으니 홈택스에서 환급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종합소득세는 매년 해야 하나요?

네.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입니다. 사업소득, 기타소득이 있는 한 매년 신고·납부 의무가 있습니다. 단, 소득이 없었던 해에도 국세청으로부터 안내문을 받았다면 무신고자로 분류되지 않도록 신고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